반응형

BEM 2

CSS방법론 : OOCSS, BEM, SMACSS 비교해보기

이전에 CSS 방법론 중 하나인 BEM에 대해서 정리를 한 적이 있습니다. 현재 CSS방법론이라고 사람들이 말하는 것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 자세한 방법론에 대한 서술보다는 해당 방법론이 어떻게 다른지 또 어떠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3가지 방법론 중 무엇하나 정답이라고 말할 수 없으며 공부를 하다 보면 자신에게 맞는 방법론이 보이게 됩니다. 그 방법론을 프로젝트에 맞게 또 공통 가이드화 하여 협업이 용이하게 사용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우선 원론적인 질문을 하나 드릴게요. 왜 CSS방법론을 사용하는 걸까요? 잠깐씩 생각해보고 마저 아래의 글을 읽어가면서 본인의 생각과 일치하는지 보세요. 우선 제가 생각하는 방법론을 사용하는 이유는 나열해 보자면 협업 시 ..

IT/HTML & CSS 2021.03.12

BEM 방법론 알아보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협업을 하게 되면 어떠한 업무든 보다 나은 방법이 없을까 고민을 하게 됩니다. 프로젝트나 버전 관리나 유지보수 등의 이유를 고려한다면 업무에 가이드(규칙)가 있는 게 좋습니다. 물론 혼자서 업무를 진행하게 되는 상황이어도 자신만의 가이드 규칙을 정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자신을 위해서도 또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서도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CSS의 여러 방법론 중 하나이며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BEM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BEM이 도대체 뭔데? BEM은 Block Element Modifier의 약자 block(전체를 감싸고 있는 블록요소)__element(내부 요소)--modifier(기능/수정) BEM 방법론은 ID에는 사용할 수 없고, 오직 클래스명에만 활용할 ..

IT/HTML & CSS 2021.02.26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