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A 2

디자인패턴 (mvc, mvp, mvvm 그리고 flux)

💡 디자인 패턴이란? sw개발 방법을 공식화한 것 ✔ 1. MVC 패턴 Model, View, Controller의 앞글자만을 따서 만들어진 단어가 바로 mvc패턴입니다. 모델은 데이터들을 관리하고, 뷰는 화면을 그려주고, 컨트롤러가 뷰와 모델의 중개자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input)은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됩니다. 이렇게 각 하는 역할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각 역할에 맞는 코드를 짜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Model : 데이터(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와 그를 처리하는 부분 View : 모델에 포함된 데이터의 시각화(화면), 모델을 이용하여 화면을 나타냄 Controller : 사용자의 입력(input)을 받아 처리하는 부분 - 장점 동시다발적 개발이 가능(..

IT/Front-End 2022.07.14

CSR(Client Side Rendering), SSR(Server Side Rendering)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CSR과 SSR이란 단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게 됩니다. 유저가 최종적으로 바라보게되는 브라우저 화면이 클라이언트와 서버 중 어디에 중점을 두고 랜더링을 하여 유저에게 보여주게 될 것인가가 CSR로 결정할지 SSR로 결정하게 되는 이유가 됩니다. 🍓 CSR CSR이란 최초에 1번 서버에서 전체 페이지를 로딩하여 보여주고 이후에는 사용자의 요청이 올 때마다 리소스를 서버에서 제공한 후 클라이언트가 해석하고 렌더링을 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처음의 로딩만 기다리면, 동적으로 빠르게 렌더링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UX가 좋습니다. 처음 페이지를 로드 하였기 때문에 서버에게 요청하는 횟수가 훨씬 적어져 서버의 부담이 적습니다. 단점 처음 로딩 시 모든 스크립트 파일을 로드하기 때문에 모..

IT/Front-End 2021.12.23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