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f 2

Object is possibly 'null' 오류 해결

이전에 스스로 공부하면서 만들었던 리액트 프로젝트를 타입 스크립트도 공부할 목적으로 타입 스크립트를 적용하였습니다. 타입 스크립트를 사용하기 전에는 단순히 값의 형태만 정의해주면 되는 건데.. 뭐가 이렇게 요즘 핫한 거지?라는 생각으로 접근을 했습니다만.. 실제로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하면서 처음에 제가 생각한 부분은 많이 단순한 생각이었다는 것을 처참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서론은 각설하고 React에서 useRef를 사용하였던 부분이 Error가 발생하여 이유를 찾아보았는데 처음 제가 useRef(null)로 선언한 값이 Object is possibly 'null'이라는 타입 스크립트 오류가 났습니다. 해결방법은 useRef에 type값을 any로 정의해주면 해결되었습니다. typescript를 쓰는 ..

IT/Typescript 2022.05.19

리액트(React) 스터디일지6 : ref (reference)

리액트에서는 ID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컴포넌트 단위로 사용을 하는 주된 목적은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게 가장 큰 목적인데 ID를 사용하게 되면 DOM에서 중복 ID값이 생길 수가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리액트에서는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 ref를 사용합니다. ref는 컴포넌트 내부에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중복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예제코드 1 class ValidationSample extends Component { state = { password: '', clicked: false, validated: false, }; handleChange = (e) => { this.setState({ password: e.target.value, }); }; handleButtonClick..

IT/React 2021.04.08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