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nder 2

React 라이프 사이클 이해하기 (함수형 컴포넌트에서의 생명주기)

TL;DR😄 리액트나 Vue를 이용해서 개발을 하게 될 때 React와 Vue모두 각각의 라이프사이클(생명주기)이 있습니다. '라이프사이클(생명주기)'라는 말을 처음 접하는 분이라면 라이프사이클이라는 말이 막연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아래 글을 읽으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리액트에서 라이프사이클의 개념은 클래스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명확히 사용되는 부분인데 React 16.8 이후 리액트 훅(함수형 컴포넌트)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생명주기의 개념도 이전처럼 명확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리액트의 라이프사이클을 알아야 합니다. 아직 React에서는 공식적으로 클래스 컴포넌트와 함수형 컴포넌트 모두 지원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이전에 작성된 코드들은 대부분 다 클래스..

IT/React 2022.08.16

useEffect 와 useLayoutEffect 의 차이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필수 개념 2가지를 먼저 눈에 익혀주세요. Render: DOM Tree 를 구성하기 위해 각 엘리먼트의 스타일 속성을 계산하는 과정 Paint: 실제 스크린에 Layout을 표시하고 업데이트하는 과정 💡 useEffect useEffect는 컴포넌트들이 render와 paint 된 후 실행됩니다. 비동기적(asynchronous) 으로 실행됩니다. paint 된 후 실행되기 때문에, useEffect 내부에 dom에 영향을 주는 코드가 있을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화면의 깜빡임을 보게됩니다. useEffect의 라이프사이클 (출처) 💡 useLayoutEffect useLayoutEffect는 컴포넌트들이 render 된 후 실행되며, 그 이후에 paint 가 됩니다. 이 작업은 ..

IT/React 2022.07.12
반응형
//